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미리내 푸르미르(블루 스파클링 와인)>
경제/문화 교류를 통해 남북교류의 포문을 여는 공정무역 와인

부연설명

<문제점>
1. 문화 격차
남북 분단은 약 70년의 세월 동안 지속되어 왔다. 그 기간동안 폐쇄적인 경제구조를 형성했던 북한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남한과의 경제격차가 심화되었고, 이는 곧 국민의 생활 수준, 생활 양식에 큰 차이를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문화 격차는 남북교류에 있어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2. 북한의 국제적 인식
앞서 언급한 문화 격차와 그간 북한의 국제적 만행을 되돌아봤을 때, 북한에 대한 인식은 비단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부정적이다. 따라서 북한을 이용한 상품/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앞서 이미지 개선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해결방안>
북한의 특산물을 활용한 와인을 생산, 유통함으로써 남북간 문화 격차와 경제 격차를 해소하고 공정무역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며 북한을 하나의 강력한 매력물로 활용하는 방안. 제품의 생산 과정에 북한 노동력을 활용함으로써 공동의 가치를 창출한다.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수요를 충족하는 역할도 가능.

위치

16227

경기 수원시 영통구 광교산로 154-42 (이의동, 경기대학교) 와인 양조장은 개성공단 위치

구성원
  • 팀명

    미리내

  • 팀장

    조영우

  • 팀원

    박준욱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문화 및 경제 격차에 따른 마찰 우려>
- 「남북 문화 교류의 방향」- 남북 문화의 차이 및 원인 (서울대학교 권영민 교수)

- 초·중·고 학생 31.7% “남북통일 필요 없다”…역대 최고 (동아일보)

- 북한 경제, 2년째 역성장…남북 소득격차 28배 (연합뉴스TV)

근거2

<가치소비/윤리소비에 대한 수요 증가(트렌드)>

- 친환경부터 동물복지까지 생산자도 소비자도 웃는 ‘윤리적 소비’ (KDI 경제정보센터)

- MZ세대 '착한 소비'는 일상… "취업 때도 ESG 경영 고려" (부산제일경제)

근거3

<와인 시장의 성장 및 스파클링 와인 선호 고객>

- 코로나 시대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와인선택속성이 와인수요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 대학원)

- 와인소비자 유형에 따른 와인-한식메뉴 궁합에 대한 인식 (외식경영학회)

- 와인가격으로 바라보는 슬기로운 와인생활 (TIN뉴스)

- 2022년도 주류시장 트렌드 보고서(농림축산식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