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환경친화적인 남북 한반도 커피박 연탄 제조 및 활용 시스템:
환경 단체와 정부의 지속 가능한 변화를 위한 동반자

부연설명

한반도 내에는 10,000개 이상의 커피 가게와 카페가 있으며, 매일 약 10kg의 커피박을 발생시킵니다. 이 아이디어는 커피박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고 환경 보호 및 탄소 절감에 기여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커피박의 처리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으며, 재활용된 커피박 연탄은 CO2 배출량을 최대 30% 감소시키고 유해물질 배출을 50%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남북 한반도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모두가 함께 동참하여 한반도 주민들이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1. 커피박 수집 시스템
커피박 연탄은 사용 후 버려지는 커피박을 재활용하여 생산되는 친환경적인 연탄입니다. 커피 가게나 카페에 전용 수집 용기를 배치하고 업주들이 직접 커피박을 분리하여 수거합니다. 수집된 커피박은 정기적으로 수거되어 북한에 보내지며 연탄 제조에 활용됩니다. 커피 가게나 카페에서 커피박 수거에 참여하는 업주들을 마일리지 제도나 친환경 업주로 선정하여 혜택을 제공하여 수집을 권장합니다.

2. 커피박 연탄 제조 시스템
커피박은 열풍 건조 후 분쇄되고 압착 롤러를 통과시켜 커피박 분말을 제조합니다. 커피박 분말과 폐지, 톱밥, 물을 적절한 비율로 교반하여 커피박 혼합물을 만들고, 이를 금형에 충전하여 압력을 가해 연탄을 제조합니다. 연탄의 표면에는 압착유를 코팅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열량 유지와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3. 연탄의 활용과 남북 교류의 긍정적 효과
커피박 연탄은 기존 연탄보다 높은 발열량을 가지고 있으며, 자원 부족한 북한에 친환경적인 선택입니다. 남북 교류를 통해 커피박을 보급함으로써 남북 관계를 유지하고 북한의 자원 관리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 단체와 정부 기관에 커피박 연탄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인정받으면 친환경 연료로서의 가치를 홍보할 수 있으며, 식당에서 열원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열에너지 산업에서 사용되는 계약을 통해 커피박 연탄을 활용함으로써 커피박 처리와 열에너지 생산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습니다. 이 아이디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 보호를 이룰 수 있습니다.

위치

04763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222 (사근동,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구성원
  • 팀명

    dots

  • 팀장

    정윤선

  • 팀원

    이경석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커피박 연탄과 기존 연탄은 같은 모습을 하고 있지만 커피박 연탄의 에너지 효율이 더 높습니다. 또한, 유해물질 배출이 거의 없고 연소 후에도 형상이 그대로 남아 미세먼지 발생도 적습니다.

근거2

2019년 기준 국내에서 발생한 커피박은 약 15만 톤으로 추정되고 커피 원액을 추출하고 남는 커피박은 배출량이 많은 것에 비해서 재활용 방법이 마땅치 않습니다. 일반쓰레기로 버려진 커피박은 소각하면 톤 당 약 338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고 매립 시에는 카페인 성분으로 인한 토양오염이 우려되고 있으며 현재 많은 기업들이 커피박을 이용해 업사이클링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