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남북교류협력에서 북한 이주자들이 교육을 통해 성장하여 남한사회에서 적응하는 것은 사업 분야를 가리지 않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 남한에서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실태는 심각하다. 따라서 이들, 나아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1대1 멘토링 공동체 '이어드림'이 필요하다.

부연설명

남북교류협력의 중심은 결국 사람입니다. 이들의 교류협력이 이루어지는 미래 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는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현재 '미리 온 통일'이라고 할 수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상황을 통해 발생가능한 문제를 예상하고 미리 해결책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현재 북한이탈주민은 직업적 다양성이 떨어지고, 기초생활수급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그 이유는 대학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자퇴하기 때문입니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리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탈북민 한명 한명을 만들어내는 데에 집중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이어드림만의 < 멘티 → 주니어멘토 → 시니어멘토 > 3단계 성장 모델이 있습니다.

고등학생 북한이탈주민을 '멘티'로 선발하여, 이들을 ‘주니어 멘토’와 1대1로 연결합니다. 학습 코칭, 학업 과외, 진로 프로젝트 등을 진행합니다. 지속가능성을 위해 멘티들이 이 과정에서 길러낸 능력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에 가치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대가로 지역 주민들이 지불한 돈을 활용하여 다시 멘티들의 교육에 사용하는 선순환을 만들어내고자 합니다.

멘티가 대학에 진학한 이후에는 '주니어 멘토'가 되어 자신의 출신 학교, 혹은 진학한 대학 근처의 탈북 고등학생과 매칭되어 자신이 받았던 도움을 다시 베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시니어 멘토'는 멘토링 활동을 다방면에서 지원하며, 이어드림 장학금이 지급됩니다. 주니어멘토가 취업하게 되면, '시니어 멘토'로서 활동하며 다시금 다른 역할의 베풂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선순환의 구조가 필요한 이유는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말과 행동에는 비교할 수는 없는 힘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어드림이라는 공동체안에서 북한이탈주민은 자신이 누군가를 도울 수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이 이 사회에서 진정으로 가치있는 존재라는 것을 진정으로 인식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추후에는 다양한 직장과 연결해주는 플랫폼을 만들고 싶습니다. 자체 플랫폼을 통해 개인의 특성에 맞는 직장을 매칭해주려 합니다. 또한 중국어와 영어, 한국어 등 언어가 매우 유창한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들이 활약할 수 있는 분야에서 이들을 직접 고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싶습니다. 이렇게 개발한 기업의 역량을 기반으로 먼 훗날 통일이 온다면, 그때는 북한으로 직접 들어가 학교를 세우고, 직장과 연결해주는 플랫폼을 만들고, 직접 이들을 고용할 수 있는 회사를 세울 수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위치

06781

서울 서초구 언남10길 21 (양재동, 오성빌딩) 주소는 현재 주 활동학교인 '다음학교' 미래에는 대한민국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로 확장 예정.

구성원
  • 팀명

    이어드림 Year-Dream

  • 팀장

    최동인

  • 팀원

    김욱영, 김화평, 송현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현재 북한이탈주민들의 실태는 심각하다. 북한이탈주민의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6배이며, 제조, 숙박, 보건, 음식점, 건설 등에 편중되어 있는 직업 분포를 보인다. 대학 재학 중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졸업율은 10% 미만인 경우가 많은 것이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된다.

근거2

탈북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멘토링의 효과는 증명되었으며, 선순환을 통해 대학진학 이후 자신이 직접하는 봉사는 심리적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근거3

이어드림 공동체를 기반으로 직장 매칭 플랫폼 및 직접고용 사업모델로의 확장이 가능하다. 미니인턴 취직 플랫폼 및 시니어/보호종료아동 직접고용 서비스를 롤모델로 삼으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