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서울시, 주차 공간이 필요하다.

부연설명

자동차가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은 도로가 아닌 주차장이다. 현재 서울은 주차와 전쟁 중이다. 주차 공간이 부족해 차량들이 이중 삼중으로 주차하는 모습들도 나타나고 주차구역이 아닌 곳에 불법주차를 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한정된 땅에서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위치

07025

서울 동작구 동작대로1길 42-9 (사당동) (사당동)

구성원
  • 팀명

    드림

  • 팀장

    이명우

  • 팀원

    김민수, 김민주, 박진관, 홍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한국은 글로벌 시장에서 750만 대의 자동차를 판매하는 '글로벌 톱5' 자동차 강국으로 성장했지만, 전문가들은 이제 한국이 변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진유 경기대 도시교통공학과 교수는 자동차 의존적 도로망과 도시구조로 인한 문제점이 있다며, 대중교통과 보행, 자전거 중심 도로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토교통부와 각 지자체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자동차 등록 대수는 2,436만 대로 10년 전 대비 35%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국내 주차장 면적은 1,708만㎡에서 4,082만㎡로 140% 가까이 증가하였다. 주차장 면적의 증가로 주차난은 완화된 것처럼 보이지만, 전국적인 주차 갈등은 여전히 심각하다.

근거2

현재 서울에 있는 주차장을 수치상으로 따져보면 141%정도이다. 기준을 어디 두느냐에 상관없이 모두 주차장 확보율이 100%가 넘기 때문에 차 한 대당 주차장 한 면은 확보가 된 셈이다. 하지만 자치구 별로 살펴보면 편차가 있다. 25개 자치구 중에서 중구, 영등포구, 종로구 같은 지역은 자가용 한 대 당 주택가 주차면 한 면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이다. 주차장 확보율이 70~80%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근거3

주차면적 증가율이 차량 증가율을 크게 상회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차난이 해소되지 않는 것은 대규모 주차장을 갖춘 대형 마트와 주상복합, 오피스 빌딩 등이 10년 사이 크게 증가했고, 그들이 갖춘 주차면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기존 아파트 단지나 다세대주택, 도시형생활주택 등 밀집 지역은 제자리걸음을 했다. 즉 정작 주차장 공급이 필요한 주택가에는 공급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뜻이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