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부천시의 인구밀집도가 심각한 문제입니다.

부연설명

첫째, 부천시는 인천과 경기도에 위치하여 수도권 근처에 있어서 높은 인구 밀집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수도권 내에서의 접근성과 편리한 교통망으로 인해 많은 인구가 이곳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속적인 인구 증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둘째, 부천시는 산업화가 진행된 지역으로, 다양한 산업시설과 기업들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취업 기회가 많아지고 더 많은 인구가 이 지역으로 이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부천시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 더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주택 부족과 주거 환경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인구 밀집도가 심각해지면서 주거 공간 부족으로 인한 주택 가격 상승과 토지 공급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구 밀집도가 증가하면 공공시설과 서비스의 부담도 커지게 됩니다. 교육, 의료, 교통 등의 분야에서 인프라의 한계를 느끼게 되며,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문제들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부천시의 인구밀집도 문제는 주거 및 생활 환경, 공공시설의 부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적극적인 대책과 계획이 필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치

14547

경기 부천시 길주로 210 (중동, 부천시청/부천시의회) 부천시청

구성원
  • 팀명

    알코올 게이지

  • 팀장

    김래이

  • 팀원

    김래이, 민경민, 안희수, 장서연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부천시 인구밀도는 ㎢당 1만5575명으로 전국 최고다. 특히 경기도에서 인구밀도가 1만 명이 넘는 지역은 부천시가 유일하다. 경기도내 50만도시중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평택시(㎢당 1112명)에 비해 부천시 인구밀도는 무려 14배에 이른다.

근거2

부천시의 인구밀도가 전국 평균의 30배에 달해 전국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천은 좁은 땅에 많은 사람이 살고 있다. 조 시장은 이런 부분을 '조밀한 도시'라고 표현했다. 부천의 면적은 53㎢로 경기도 전체 면적의 0.5%에 불과하다. 하지만 인구수는 경기도 전체의 약 6%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

근거3

도로, 도서관, 공원 등 주민 편의를 위한 기반 시설도 함께 늘면서 부천의 공간이 조밀하게 채워졌다. 부천 인구 밀도는 지난해 기준 1㎢당 1만5768명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가장 높다.

근거4

부천시의 과밀억제권역 지정 배경으로는 도시 성장 및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인구의 과밀화를 지적할 수 있다. 부천시는 시 권역의 변화와 인구 유입으로 인해 인구밀도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부천시의 인구밀도는 1973년 시 승격 당시 2,427명/㎢였다. 1975년 시 권역이 2배 정도 확대되면서 일시적으로 인구밀도가 2,112명으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부천시의 인구는 1965~1990년까지 연평균 약 10%의 높은 인구밀도 증가율을 보였고, 1999년에는 인구밀도가 1㎢당 1만 4627명으로 우리나라 79개 시 중에서 서울시 다음으로 높았고, 경기도 23개 시 가운데에서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