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여가와 문화는 그들의 정신적 건강과 성장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제주는 이와 관련하여 한 가지 문제를 직면했다. 바로 청소년 문화·여가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그들이 향유할 수 있는 문화나 즐길거리, 볼 거리가 다양하지 않다. 물론 청소년활동 진흥법을 근거로 하여 청소년 문화의 집이 설치되어있기는 하지만 43개의 읍면도 중에 불과 25곳만이 설치되어있고 이마저도 운영 프로그램과 인지도의 한계 때문에 적절히 활성화되어있지 않다. 이러한 문화콘텐츠 부족 때문에 청소년이 여가시간에 할 수 있는 활동의 범위가 한정적이고 획일적으로 되어 있다. 청소년들은 평일 여가 시간에 대다수가 통화나 문자 메시지를 하거나 유튜브 같은 모바일 컨텐츠 시청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으며 어떠한 인터뷰에서 한 청소년은 학교가 끝나면 갈 수 있는 곳이라곤 pc방이나 노래방뿐이라고 하며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컨텐츠가 없는 것에 대해서 안타까움을 표현했다.
제주도에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될 수 없었던 것은 우연이 아니다. 콘텐츠 부족 현상 이면에는 문화와 볼거리를 제공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생태계 문제가 있었다. 그들은 코로나로 인해 장기간 수입이 없어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다시 재기하기에 큰 어려움을 겪는 중이다. 제주형 예술인 재난기금 지을 시행중이기는 하지만 그 액수가 그들의 상황을 회복시킬정도는 아니라고 보인다. 문화예술인들의 부활이 제주의 문화콘텐츠 부족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열쇠이다.
문화체관광부가 시행한 2022 국민여가 활동 조사에 따른(복수 응답 가능) 청소년 평일 여가 활동 유형은 통화 및 문자, 모바일 콘텐츠 시청, 친구와의 만남, 영화 관람으로 각각 55.1%, 51.4%, 28.8%, 28.8%인 것으로 알려졌다.
근거2
이상아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위원장은 제주의 문화자본력이 부족하다고 말하며 문화예술인들을 위한 처우 문제에 대해 말했다. 코로나로 인해 2년 반 가까이 공연이나 여러 활동이 단절되어있었던 상태였기에 그들의 생계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유로운 문화예술을 펼치기 위한 복지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