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동문시장의 일회용품 사용 증가에 따른 폐기물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부연설명

제주에서 주요 관광산업을 통해 발생 되는 폐기물은 연간 약 6만 7,670톤으로 추산되며, 도내 생활폐기물 전체 발생량의 약 1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문시장은 제주 원도심에서 가장 방문객이 많은 곳 중에 하나로, 방문객의 절반이 관광객인 만큼 음식을 포장해 가거나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특히 야시장의 경우에는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회용품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있어야 한다. 그 방안으로 '다회용기 제공'이 있다.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가격이 달라진다. 용기를 가지고 가면 할인을 해준다. 사용 전에 용기를 반납할지 가지고 갈지 정해야 한다. 만약 용기를 반납한다고 하면 동문시장 내 매장 이용 시 페이백이 된다. 가지고 간다고 할 경우에는 기념품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동문시장에서도 환경을 생각하는 생존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위치

632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문로4길 9 (일도일동, 동문공설시장, 동문공영주차장) 동문시장

구성원
  • 팀명

    예쁘게봐조

  • 팀장

    오동욱

  • 팀원

    이지영, 국승민, 김나영, 이진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제주 동문 야시장은 하루 평균 방문객은 약 5000명이다. 금요일과 주말이면 7000~8000명까지 늘어난다. 매출도 야시장 전체가 보통 1000만원에서 1500만원 이상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32개 판매 부스별로 매출이 조금씩 다르겠지만 산술적으로는 1개 부스에서 하루 최소 30~50만원의 매출을 올리는 셈이다. 엄청난 방문객 수를 자랑하는 동문 야시장 주변은 음식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적당한 숙박 시설이 없어, 포장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많다.

불필요한 '과대 포장'과 적당한 거리에 '숙소가 없는 탓'에, 동문시장과 길거리가 점점 오염되고 있다. 또한 시장에서는 취식행위를 금지하는 특별한 제재가 없기 때문에 사람들이 쓰레기를 무단 투기를 하고 있다.

최근 5년간 동문 야시장 쓰레기 투기로 길거리 위생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음식물이 담겼던 포장 용기와 페트병 등 각종 쓰레기가 뒤섞여 야시장 바로 뒤에 흐르는 산지천에 쌓여 있었다.

근거2

제주시에 따르면 현재 공공근로사업을 통해 채용된 인력 2명이 야시장 운영 시간인 오후 5시부터 9시까지 인근 청소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적은 인력으로 많은 양의 쓰레기를 모두 수거하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다양한 사회 단체에서 쓰레기 수거활동을 진행 중이다. 동문시장 주위의 쓰레기 무단 투기 문제도 매년 반복되고 있어 관리 인력 충원과 클린하우스 설치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근거3

일회용품은 종이,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러한 소재들은 자연 분해가 느리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동문시장에서 사용되는 일회용품이 대량으로 생산되면서 지구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폐기물이 매립지에 쌓이거나 바다에 버려지면서 생태계에 해를 끼치고, 생태적 균형을 깨뜨릴 수 있다.

일부 일회용품은 사용 후에 미세 플라스틱 입자로 분해되어 환경에 방출된다. 이러한 미세 플라스틱은 물과 땅에 퍼져서 생태계와 식품 사슬에 영향을 미치며, 인간 건강에도 위협을 줄 수 있다.

근거4

일회용품 생산에는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석유 같은 유화석유원료를 사용하고, 종이 제품은 수많은 나무를 필요로 하다. 이로 인해 자원 고갈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자원 소비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위반하고 있다.

폐기물 처리와 재활용 과정은 돈이 드는 작업이다. 동문시장이 폐기물을 처리하고 재활용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면, 이는 지역 경제에도 부담을 주게 된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