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지불수단을 편리하게 하고, 사용 가능한 가맹점수 증가 및 혜택 홍보가 필요합니다.

부연설명

2022년도 ‘탐나는전 향후 사용의향 없는 이유’ 통계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타 지불수단이 더 편하게 느껴짐‘이 34.4%, ’이용 혜택(할인 추가적립 등)이 불충분함’이 15.6%, ‘기존의 신용카드와 별반 차이를 느끼지 못함‘ 15.2%, ’사용 가능한 가맹점 수가 적음‘이 12.1%로 제주도민이 아니더라도 신청, 발급이 가능해 제주도 여행 시 필수 카드가 되고 있지만 실상 불편한 점이 한둘이 아니라는 통계지표가 나왔음

위치

6304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안3길 135 (고내리) 마레보 리조트

구성원
  • 팀명

    파워레인조

  • 팀장

    박지슬

  • 팀원

    이민용, 강사랑, 장민정, 송지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탐나는전 향후 사용의향 없는 이유’ 통계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타 지불수단이 더 편하게 느껴짐’ 34.4%로 사용의향을 늘리려면 지불수단을 바꿀 수 밖에 없음. 전국 지자체 중 지역화폐가 가장 활발히 유통되고 있는 경기도는 21년도부터 경기지역화폐 모바일 페이 결제를 시작하였음. 언제 어디서나 경기지역화폐를 핸드폰만 있으면 결제할 수 있도록 스마트한 결제 서비스를 원하는 도민들의 바람의 담아, 주민참여예산 주민제안사업으로 추진됨. 삼성페이 플랫폼(간편결제플랫폼)을 이용하면 카드형 지역화폐와 동일한 가맹점이 적용 가능하고 소비자 선호도가 높고 편의성이 높은 카드 기반 간편결제 방식임

근거2

‘탐나는전 향후 사용의향 없는 이유’ 통계청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용 가능한 가맹점 수가 적음’이 12.1%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는데 사용 가능한 가맹점 수가 왜 적을까요? 라는 물음에 소비자들은 혜택을 받지만 탐나는전 이용자 숫자만큼 고객을 신규 유치하는 효과가 없는 것 같다라는 답변이 돌아옴. 또한 일부 지역도민 및 관광객 인터뷰 결과 가맹점인줄 알고 왔다가 실상은 ‘탐나는전’ 받지 않아 헛걸음 하는 일이 발생함. 네이버의 영수증 리뷰는 중소상공인에게 성장을 위한 도구로도 활용되고 있음. 차곡차곡 쌓인 영수증 리뷰가 중소기업 성장을 뒷받침하는 효과적인 빅데이터로 활용돼 사업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함. 인지도가 낮거나 비밀집 상권에 위치하더라도 후기를 보고 매장을 방문하는 이용자가 늘어나는 효과도 있음. 제주도의 사람 중심 경영체계를 마련할 수 있음. 제주도 빅데이터 사례를 예시로 들어보면 제주관광공사는 지난 3월 통계청 인구ㆍ가구 통계등록부와 SKT 이동통신 빅데이터 가명 정보 결합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주 한달살이’ 규모와 여행패턴을 분석했고, 이를 공유한 바 있음. 이에 따라, 도내 관광업계에서 한달살이 상품이 개발 및 확산될 수 있도록 기여한 점을 높게 평가받음. 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공사는 앞으로도 관광과 관련한 다양한 빅데이터 기획과 분석을 통해 관광업계에서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함.

근거3

추가적인 아이디어 검증을 하면서 문제를 겪는 대상자에 대한 직접적 요구사항을 파악이 필요해 동문재래시장의 손흥민(소상공인) 과 인터뷰를 하면서 문제점을 발굴하였음. 인터뷰를 통해 혜택 홍보 영상을 만들어 홍보를 하는게 어떨까? 라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발굴함. 방탄소년단(BTS)의 세계적인 인기가 수 년째 꺾일 줄 모르고 고공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데 각종 연구기관들은 해마다 BTS의 경제 효과를 측정한 연구결과가 쏟아져나옴. BTS가 창출하는 직간접적인 부가가치와 국가 브랜드 홍보, 위상 제고 등 효과가 큼
10대는 물론이거니와 2,30대가 열광하는 BTS 인기가 치솟아 5,60대 영향을 미치고 있음. 국내언론들은 지난 1년동안 휴대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연령별 음악 콘텐츠 사용을 분석한 조사 결과를 보도하였음. 그런데 예상과 달리 50대 이상 장년층의 음악 컨텐츠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모두를 놀라게함. 따라서 2,30대가 탐나는전을 많이 사용하면 선순환으로 5,60대층 등 전연령층이 사용할 수 있게됨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