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제주도 원도심을 활성화 시켜야된다.

부연설명

동문시장을 다 돌아본 결과 예술 관련 샵(소품샵)에 대한 mz세대의 수요가 대부분 이었다. 앞서 살펴본 인증샷에 관한 심리자료를 살펴보았듯이 Mz세대의 최대 관심사는 인증샷 맛집이며, 실제 동문시장이 아닌 원도심 근처의 한적한 예술관련 샵에서의 사람 많았습니다.
많은 예술인들이 자신의 작품을 선보이기 위해, 기회를 찾아 서울로 향하고 있다. 관객들도 마찬가지다. 양질의 예술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 시간과 돈을 들여 서울로 간다. ‘예술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이미 모두 로컬에 있는데, 로컬에서는 왜 안될까? 이러한 문화충동이 탄생했다. 따라서 제주대 미대 학생들의 작품과 그들의 이야기를 제주 시민 및 관광객에게 그들의 니즈를 충족하는 타입의 복합문화공간을 통해 선보이며, 제주대 대학생들에게는 자신의 작품을 선보이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식을 조성하려고 한다.
목표 3가지 – 첫째, 제주 청년의 새로운 예술 문화 생태계 구축,
둘째, 로컬 예술 문화 확립으로 지역 예술 문화 격차 해소,
셋째, 제주 청년 예술인의 일자리 창출과 기회 제공.
이를 위해 제주 로컬 청년 예술인의 기회부족 문제와 서울과의 격차를 해결하고 이것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위치

6326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도일동 1103 동문시장 재래시장

구성원
  • 팀명

    원도심9조

  • 팀장

    장영민

  • 팀원

    정가현 , 장석봉 , 조윤주 , 이하빈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2014년에는 1,536 명 2017년에는. 1,450 명
2019년 에는 1,413 명 으로 전국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근거2

인증샷을 남기려는 심리
- 이동귀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는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신의 존재를 지속적으로 확인받고 싶어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성장이 정체된 시대를 사는 밀레니얼 세대에겐 항상 불안감이 따라다닌다.
- SNS에 올라온 다른 사람의 모습을 따라하는 것을 두고도 이 교수는 “SNS에 인증샷을 올리는 이유와 같은 맥락”아라며 “SNS 속 자신의 자아가 유행에서 뒤처지는 모습을 보이면 주류에서 벗어난 것 같은 불안을 느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