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흑리단길 문제점 10가지

부연설명

1. 인도의 부재
2. 시장 같은 분위기
3. 낮은 인지도
4. 통일되지 않은 가게들
5. 중국 가게
6. 노후된 시설
7. 실질적인 주 고객층
8. 미끼의 부재
9. 주차 공간의 부재
10. 저지대

위치

06979

서울 동작구 서달로14길 8 (흑석동) 흑리단길

구성원
  • 이름김란주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1. 인도가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통행에 불편함을 겪는다.
2. 트렌디한 가게는 거의 없고 주 고객층이 노년층인 가게 및 생활시설들이 즐비해 있다. 따라서 -리단길이라는 명칭을 붙이기에는 무리가 있다.
3. 중앙대학교 학생들 사이에서 이 거리를 흑리단길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주변의 경우를 예시로 들자면 이 거리는 역전할머니맥주를 가기 위한 길일 뿐,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근거2

4. hav와 같이 트렌디한 느낌을 주는 가게 바로 옆에 한일 유리 샷시, 동명 철물과 같은 뜬금 없는 가게들이 있다. 사실상 흑리단길이라는 명칭을 들었을 때 기대하는 분위기는 hav와 같은 가게의 분위기지만 막상 가장 먼저 이 길을 들어서면 금은방이 나온다. 그리고 그 앞에는 카페, 로뎀이라는 브런치, 디저트 카페가 있다. 모든 것이 다 뜬금없고 이 거리가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지 알 수 없다.
5. 정확히 무엇을 하는지 알 수 없는 중국어 간판과 양꼬치 가게가 눈에 들어온다. 이는 다소 차별적일 수 있지만 한국인이라면 가질 수 밖에 없는 치안에 대한 공포를 느끼게 한다. 이러한 간판들이 눈에 들어오면 이 거리 자체의 분위기가 침체된다.
6. 모든 가게들의 간판이나 시설들이 노후되어 있다. 이는 이 거리 자체가 노후되었다는 느낌을 준다.

근거3

7. 이곳의 실질적인 주 고객층은 4060 남성이다. 이 거리를 갈 때마다 쉽게 볼 수 있는 술을 한 잔 걸친 4060 남성들은 젊은 사람들에게 오면 안 될 곳을 왔나하는 마음이 들게 한다.
8. 한 거리가 흥하기 위해선 그 거리로 찾아갈 만한 가게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흑리단길에는 그런 가게가 존재하지 않는다.
9. 어딘가 멀리서 사람들이 찾아온다면 주차를 할 공간이 있어야 하지만 이곳에는 그럴 공간이 없다.

근거4

10. 흑리단길을 비롯한 흑석동은 비교적 저지대에 해당하여 비가 많이 내리는 날이면 침수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
출처1
출처2
출처3
출처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