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봉리단길의 문제점

부연설명

대구 중구 대봉동 대봉로 일대에 형성되어 있는 봉리단길의 문제를 제시하였다.

위치

41954

대구 중구 대봉로 188 (대봉동) 봉리단길

구성원
  • 이름임사랑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1. 부족한 인지도

2. 네이밍이 같은 ‘~리단길’이 존재
- 경상남도 김해시에 봉리단길이 존재한다. 봉리단길에 대해 검색하였을 때 대구의 봉리단길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김해의 봉리단길에 비해 매우 적다.

3. 유동인구가 적은 입지
- 상권분석 시스템을 이용해 조사해 본 결과 주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다른 유동인구가 적은 입지임을 알 수 있었다.

근거2

4. 근처에 사무지구, 대학가가 없어 상주인구의 유입도 적음

5. 역과 떨어져 있어 접근성이 떨어짐

6. 주차 문제
- 좁은 골목으로 형성되어 있어 주차에 어려움을 겪는다.

근거3

7. 프렌차이즈 상점들이 지배적이다
- 봉리단길에만 존재하는 경쟁력있는 상점들이 아닌 대형 프렌차이즈 형식의 상권이 대부분이다.

8. SSM(기업형 슈퍼마켓)이 포진해있는 아파트형 상권으로 변모함
- 아파트와 주택단지 개발이 그 이유

9. 2030 타겟 공략 실패
- 기사와 인터뷰에 따르면 상권 쇠퇴의 원인을 뒤쳐진 컨셉, 인테리어 등으로 타겟층으로 했던 젊은 세대들을 공략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 미숙한 브랜딩
- 봉리단길의 테마가 갖춰져 있지 않아 상권의 통일성이 떨어진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