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리단길의 문제점
대구 중구 대봉동 대봉로 일대에 형성되어 있는 봉리단길의 문제를 제시하였다.
41954
대구 중구 대봉로 188 (대봉동) 봉리단길
#대구 #봉리단길
1. 부족한 인지도 2. 네이밍이 같은 ‘~리단길’이 존재 - 경상남도 김해시에 봉리단길이 존재한다. 봉리단길에 대해 검색하였을 때 대구의 봉리단길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김해의 봉리단길에 비해 매우 적다. 3. 유동인구가 적은 입지 - 상권분석 시스템을 이용해 조사해 본 결과 주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다른 유동인구가 적은 입지임을 알 수 있었다.
4. 근처에 사무지구, 대학가가 없어 상주인구의 유입도 적음 5. 역과 떨어져 있어 접근성이 떨어짐 6. 주차 문제 - 좁은 골목으로 형성되어 있어 주차에 어려움을 겪는다.
7. 프렌차이즈 상점들이 지배적이다 - 봉리단길에만 존재하는 경쟁력있는 상점들이 아닌 대형 프렌차이즈 형식의 상권이 대부분이다. 8. SSM(기업형 슈퍼마켓)이 포진해있는 아파트형 상권으로 변모함 - 아파트와 주택단지 개발이 그 이유 9. 2030 타겟 공략 실패 - 기사와 인터뷰에 따르면 상권 쇠퇴의 원인을 뒤쳐진 컨셉, 인테리어 등으로 타겟층으로 했던 젊은 세대들을 공략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10. 미숙한 브랜딩 - 봉리단길의 테마가 갖춰져 있지 않아 상권의 통일성이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