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대구 봉리단길이 특색을 잃고 쇠퇴기를 겪고 있다.

부연설명

김광석길과 맛집이 줄지어 자리해 젊은 층에게 큰 인기를 끌었던 봉리단길이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을 겪고 있다. 이로인해 트렌티한 카페나 음식점들이 떠나 전형적인 아파트 상권으로 바뀌며 봉리단길만의 특색을 잃고 있다.

위치

41954

대구 중구 대봉로 188 (대봉동) 대구 봉리단길

구성원
  • 이름정민아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1. 젠트리피케이션의 온상지
~리단길의 호칭이 붙으며 인기를 끈 대부분의 길이 결국 겪게 되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를 봉리단길 역시 겪고 있다. 공시지가 상승률이 2013년 대비 23.7%로 매우 높았고, 상권의 평균 영업기간은 6,6년, 폐업기간은 9.3년으로 변동 주기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대료 역시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3배 이상 장가했고, 보증금과 권리금 역시 급격한 상승률을 보였다. 이로 인해 기존의 특색있던 가게들은 임대료 부담으로 문을 닫고, 프랜차이즈 가게들이 줄지어 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근거2

2. 특색을 잃은 봉리단길
대봉동의 '봉'에 ~리단길을 붙여 만들어진 봉리단길은 2014년 무렵 이색 카페와 식당 등이 생겨나면서 청년들 사이에서 이른바 '핫플'로 자리매김했다. 봉리단길은 특이하게 접근성 및 유동인구 없이도 '맛집'이라는 특색으로 이루어진 상권이었다. 유동인구도 대구의 중심 상권과 떨어져있어 많지 않았고, 골목이 좁아 주차 및 통행이 불편했지만 특이하고 실속있는 맛집만으로 사람들을 끌어당겼다. 하지만 2018년 이후 임대료 상승으로 젊은 사장들이 떠나면서 트랜디한 식당 및 카페는 공실로 변하거나, 프랜차이즈 점포로 바뀌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주상복합 아파트가 지어지면서 봉리단길은 전형적인 아파트 상권으로 바뀌며 주민들 이외에는 잘 찾지 않는 골목이 되었다.

근거3

3. 청년들의 발길이 끊긴 봉리단길
봉리단길은 이제 청춘의 열기가 식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봉리단길을 찾아보면 회식을 하는 중장년층의 모습을 더 흔하게 볼 수 있다. 봉리단길이 아파트 상권으로 바뀌면서, 기업형 슈퍼마켓이 포진하는 주거지역의 특징을 보여주게 되는데, 이로 인해 주로 40~50대 인근 아파트 주민들이 봉리단길을 찾게 되었다. 온라인 테이터로 확인해보았을 때도도, 봉리단길이라는 해시태그가 붙은 게시물은 27만 8천건으로, 다른 ~리단길에 비해 그 수가 절반 이상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