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동리단길은 골목길 특성을 보존하며 주민 거주 구역과 상권의 경계를 확립해야 한다.

부연설명

동리단길은 전남도청의 이전으로 낙후된 구도심 주택가로 변모되었다. 그러나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을 건립하고 학원가가 형성되며 학부모들이 인근 카페에 머무르게 되었다. 카페거리는 동명동에 활기를 불어넣었으며 낡은 건물의 특색을 살려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위치

61430

광주 동구 동명동 291-20 동리단길

구성원
  • 이름권문선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차량과 보행이 혼재돼 연결 관계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가로 경관과 시설활용에 불편함이 크다. 동리단길은 하루 평균 20여건, 한달 평균 100~150여건에 달하는 불법주정차 차량들이 적발되고 있으며 cctv와 이동식 차량 단속을 실시하는데도 문제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인근 공영주차장만으로는 주차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어린이보호구역마저 차량이 난립하고 있다.

근거2

4-5년 사이 임대료가 5-6배가량 증가하여 지역 가게들이 문을 닫았다. 젠트리피케이션 때문이기도 하며, 골목이 상업화되며 초기의 색을 잃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현지 사업자들은 임대료 상승 원인 중 하나로 공공기관의 지역 개발 사업을 꼽고 있으나 이 사업은 90%가 도로 정비 등의 하드웨어만 쓰여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하진 못했다.

근거3

최근에 ‘가로 주택 정비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아파트 건립 공사가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이는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더욱 성장시킬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골목길의 분위기를 해쳐 도시의 경쟁력을 축소시킨다. 행정 당국은 지방 소멸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 인구 유입에만 최우선 가치를 두고 있는 듯하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