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발굴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경리단길의 이국적 특색을 살릴 새로운 컨텐츠가 필요함

부연설명

대형 자본의 유입과 함께 소상공인이 떠나기 시작하며 거리의 특색을 잃기 시작함. 임대료 상승과 매출 감소가 겹치자 덩달아 인근 가게들 또한 줄지어 영업을 중단했으며, 외식업에 집중하여 성장한 거리는 활기를 잃음. 또한 보행길과 같은 등의 고질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컨텐츠를 꾸준히 개발하여야 함.

위치

04343

서울 용산구 회나무로 3 (이태원동) 경리단길 (용산 국군재정관리단 ~ 하얏트호텔 일대)

구성원
  • 이름김명연
해시태그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거대 자본의 유입과 함께 임대료의 상승으로 기존 상인들이 내몰리거나 또는 높은 권리금을 내고 들어올 임차인이 없어 발이 묶인 상태임. 이처럼 경리단길의 정체성을 구축한 이국적이고 독특한 가게들은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였기 때문에 방문객 또한 점차 줄어듦.

실제 2022년 19개의 일반음식점이 개업했으나 같은 기간 7개의 가게가 동시에 폐업함. 또한 2023년 1월부터 3월까지 경리단길에서 개업한 일반 음식점은 없음.

근거2

외식업에 집중된 발달

한 때 외국인들이 찾으며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다국적 거리로 발전 했었으나, 현재는 클럽과 술집 등 유흥업소만이 남아 있으며 이에 따라 거리의 특색을 잃게 됨. 거리가 균형적이게 발전을 해온 것이 아닌 외식업을 기반으로 성장해온 거리이기 때문에, 이색 식당들이 사라지며 자연스럽게 상권이 몰락함.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