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리단길은 전포카페거리의 성공에 힘입어 카페거리의 확장차원에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전포동 전체의 공시지가 변동률보다 높은 변동률을 보이고 있다. 전포카페거리를 제외한 전리단길의 경우 토지의 주된 이용 상황 변경 및 인근 대규모 아파트 입지 등의 개발호재로 거래가 상대적으로 빈번히 발생한다. 서면4번가에 비해 접근성이 유리하고 서면 중심상권과 인접하여 유동인구 유입이 쉬운 장점이 가격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전포카페거리는 권리금의 상승으로 주변 지역으로의 유출이 발생하고 충성고객이 확보된 대형 프랜차이즈, 개인 대형카페만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 초창기의 공방들도 급격한 임대료 상승으로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증가한 새로운 유입 인구는 기존 골목상권의 상생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전반적인 골목상권의 동반 발전이 필요하다.
근거2
전리단길은 노후된 건물과 화장실로 불법 촬영 등의 범죄에 취약성을 띄고 있다. 지하철 역사 안에 관광안내소가 있으나 인지도가 낮아 관광안내소의 역할도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방문객들이 충분히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요소가 된다. 이 문제들은 공공재의 공평한 분배를 통해 행정에서 수행해야 하는 역할들이다. 그러나 기존의 사업 추진 과정은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 상권을 위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교류하고 소통하는 장의 필요성이 엿보인다. 상인회가 있으나 의무적이진 않아 상인들이 자발적으로 공생을 위해 고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주민과 상인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도시를 계획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