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실록지리지

문제해결

지역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한 주장과 주장을
설명하는 부연설명을 기재해주세요.
주장

"과거를 찍고 오늘을 가져가다" 목행역 컨셉 제안

부연설명

로컬실록지리지 사용 이해를 돕기위해 지역활성화 과제 '썸썸프로젝트 IN 충주'를 재구성 하였습니다.

원본 게시물은 소식 - 기관별자료 및 출처1을 통해 이동 가능합니다.

위치

27433

충북 충주시 목수1길 13-10 (목행동) 목행역

구성원
  • 이름썸썸프로젝트 IN 충주
주장의 객관적 근거를 기재해주세요.
근거1

목행역 분석

- 목행역은 10년 넘게 빈 공간으로 존재하기에 시간과의 연관성을 가짐
- 간이역 활용사례를 참고하면 군산 철길마을은 과거의 분위기를 지우고 상업적인 느낌이 강함, 양주 장흥역은 관광용 증기기관차를 운용했지만 방문객 유입은 성공적이지 못함
- 주변 충주댐이 위치하여 산책 및 드라이브 코스로 적합하며 주변 넓은 부지가 존재함
- 목행역 인근 인구수는 7008명으로, 지방 중소도시의 교외지역이며 번화가가 아닌 산업단지 중심으로 인적이 드물다
- 열차가 여전히 통과하는 역

근거2

목행3컷 컨텐츠 소개

- 목행역의 역사, 기술, 다양한 컨텐츠를 종합하여 특색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
- 과거를 상징하는 목행역과 현재를 이어주는 매개체로 사진을 선택함
- 딥페이크 기술을 통해 과거의 사진을 복원하거나 타임머신을 타고 전해진 가족사진 등을 연출
- 라떼아트를 통해 인식한 사진을 커피 위 거품에 그림, 그리운 얼굴을 눈으로 한 번 먼저 마주하는 경험
- 여행을 좋아하는 가족을 우선적으로 타겟으로 하며, 컨텐츠의 양을 늘여 차후 연인 및 다양한 연령층으로 확대시킴

근거3

기대효과

- 간이역 이미지 개선 및 브랜드화
- 과거를 불러오는 딥 페이크 기술을 통해 관광객 관심 유도, 과거와 현재를 잇는 특별한 간이역으로 차별화
- 방문객의 증가로 간이역 및 주변 상권활성화
- 꽃 관리, 분양, 상담 등 지역 주민 일자리 창출
- 새로운 활동을 통해 주민들끼리 네트워크 활성화 등 지역 주민 삶의 질 향상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