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행역은 10년 넘게 빈 공간으로 존재하기에 시간과의 연관성을 가짐
- 간이역 활용사례를 참고하면 군산 철길마을은 과거의 분위기를 지우고 상업적인 느낌이 강함, 양주 장흥역은 관광용 증기기관차를 운용했지만 방문객 유입은 성공적이지 못함
- 주변 충주댐이 위치하여 산책 및 드라이브 코스로 적합하며 주변 넓은 부지가 존재함
- 목행역 인근 인구수는 7008명으로, 지방 중소도시의 교외지역이며 번화가가 아닌 산업단지 중심으로 인적이 드물다
- 열차가 여전히 통과하는 역
근거2
목행3컷 컨텐츠 소개
- 목행역의 역사, 기술, 다양한 컨텐츠를 종합하여 특색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
- 과거를 상징하는 목행역과 현재를 이어주는 매개체로 사진을 선택함
- 딥페이크 기술을 통해 과거의 사진을 복원하거나 타임머신을 타고 전해진 가족사진 등을 연출
- 라떼아트를 통해 인식한 사진을 커피 위 거품에 그림, 그리운 얼굴을 눈으로 한 번 먼저 마주하는 경험
- 여행을 좋아하는 가족을 우선적으로 타겟으로 하며, 컨텐츠의 양을 늘여 차후 연인 및 다양한 연령층으로 확대시킴
근거3
기대효과
- 간이역 이미지 개선 및 브랜드화
- 과거를 불러오는 딥 페이크 기술을 통해 관광객 관심 유도, 과거와 현재를 잇는 특별한 간이역으로 차별화
- 방문객의 증가로 간이역 및 주변 상권활성화
- 꽃 관리, 분양, 상담 등 지역 주민 일자리 창출
- 새로운 활동을 통해 주민들끼리 네트워크 활성화 등 지역 주민 삶의 질 향상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