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동기 및 문제 발견
- 충주시는 특산물로 유명한 사과가 있지만 관광객 유치 증대로 이어지지 않음
- 1956년 영업을 개시한 목행역은 비료 원료의 공급과 완제품의 수송을 담당하면서 여객과 화물 운송역으로서 전성지를 누렸지만, 1974년 충주비료공장이 남해화학으로 통합되며 목행역의 위상도 하락함
- 주위에 산업단지가 있기는 하지만 아직 개발이 되지 않아 사람들이 찾아오지 않음
근거2
아이디어 콘텐츠 소개
[목행역 카페]
- 목행역은 과거 주로 목행공단으로 출퇴근하는 주민들이 이용하는 역이었지만, 현재는 이용객이 줄어 무정차 간이역이 되었음
- 충주의 사과를 이용한 '사과 마을'컨셉으로 목행역 뿐만 아니라 충주시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도록 함
- 목행역 근방에는 롯데 제과 충주 공장이 위치해있고, 충주를 비롯한 충북의 사과 수출입과 판매를 담당하는 충북 사과 원협이 위치하고 있음
- 목행역에서만 만날 수 있는 시그니처 메뉴를 판매하고, 롯데 제과 등 인근 기업과 협력해 사과를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함
근거3
아이디어 콘텐츠 소개
[충주 특산물 사과 활용]
- 충주시의 사과는 일교차가 큰 기후의 영향으로 당도가 매우 높음
- 실제로 지난 2019년 국가 브랜드 대상 시상식에서 충주 사과는 3년 연속 수상함. 이 상은 인지도, 소비자 만족도,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함
- 전국 최초로 글로벌 GAP인증을 획득함
- 사전 조사 결과 충주사과의 검색량은 목행역의 검색량보다 압도적으로 많았음
- 따라서 충주사과라는 브랜드를 통해 목행역의 인지도를 높이고자 함
근거4
기대효과
1. 목행역 인지도 증가
2. 사과 소비 증진
3. 충주시 관광객 증가
4. 충주 특산물 인지도 증가
5. 지역 주민 소득 증가
6. 지역 일자리 창출
7. 지역 경제 활성화
8. 지역 환경 개선
9. 교통편 확충 기대
근거의 출처를 보고서, 통계나 논문, 기사 등을 어디에서
찾았는지 URL을 기재해주세요
또는 직접 실시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결과 등 직접 작성한
문서(hwp, doc, 메모장 등 텍스트 문서)를 업로드 해주세요